『철학ㆍ사상ㆍ문화』 제14호입니다.
| 이 유 진 | ||||||
| 한국철학사 속의 단군신화 연구 | ||||||
| -단군신화의 철학적 연구와 한국철학사 속의 단군신화 記述의 비교 대조 |
| 1 | ||||
|
| ||||||
|
| ||||||
| 박 진 | ||||||
| 칸트 종교철학의 현대적 의의 |
| 64 | ||||
|
| ||||||
|
| ||||||
| 김 학 택 | ||||||
| 브랜샤드의 선험적 지식 |
| 91 | ||||
|
| ||||||
|
| ||||||
| 이 진 희 | ||||||
| 파라의 역설과 의미론적 간극 |
| 111 | ||||
|
| ||||||
|
| ||||||
| 이 종 하 | ||||||
| 돌봄으로서 교양철학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|
| 133 | ||||
|
| ||||||
|
| ||||||
| 남 정 우 | ||||||
| 프리재즈(free jazz)에서 자유개념의 미학과 한계 |
| 153 | ||||
|
| ||||||
|
| ||||||
| 임 규 정 | ||||||
| 시인의 실존: 키르케고르의 시인과 시의 개념에 관한 연구 1 |
| 185 | ||||
|
| ||||||
|
| ||||||
| 유 승 종 | ||||||
| 영지주의의 구원관 연구 |
| 214 | ||||
|
| ||||||
|
| ||||||
| 김 종 완 | ||||||
| 마술적 사실주의 영화 <베사메 무쵸>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고찰 |
| 234 | ||||
|
| ||||||